다운로드 교육자료 문제해결 레퍼런스 구입방법

교육 자료 : 프로세싱 : 소프트웨어 실행

프로세싱 실행
  1. USB 동글을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고 햄스터 로봇의 전원을 켭니다.
  2. 프로세싱을 실행합니다.

    윈도우:
    프로세싱이 설치된 폴더에 있는 processing.exe를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맥OS:
    Finder를 실행하여 프로세싱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한 후 Processing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프로세싱이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processing
  3. 다음 그림과 같은 창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화면 아래쪽의 Show this welcome message each time 체크박스를 해제하고 Get Started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다음 그림과 같이 스케치북 폴더가 없다는 창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스케치북 폴더의 위치를 기본 위치로 초기화 합니다.
    스케치북 폴더의 위치는 앞으로 작성되는 코드의 파일(스케치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인데 프로세싱의 환경 설정에서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5. 프로세싱이 실행되었습니다.
예제 파일 실행
  1. 프로세싱을 실행합니다.
  2. 파일 메뉴에서 예제... 메뉴를 선택합니다.
  3. Libraries 아래의 Roboid 아래의 Hamster 폴더에 있는 예제 파일 중 하나를 더블 클릭하여 엽니다.
  4. 실행 버튼을 누르거나, 스케치 메뉴에서 실행하기 메뉴를 선택하거나, 키보드의 콘트롤(Ctrl) 키와 알파벳 R 키를 동시에 눌러 예제 파일을 실행합니다.
목차
수업 자료 내려 받기
수업 준비
  1. 하드웨어 살펴보기
  2. 햄스터 · 햄스터S · USB 동글 PDF · PPT
  3. 소프트웨어 설치 (설치 파일을 내려 받은 경우)
  4. PDF · PPT
  5. 소프트웨어 설치 (라이브러리 파일을 내려 받은 경우)
  6. PDF · PPT
  7. 로봇과 컴퓨터 연결
  8. PDF · PPT
  9. 소프트웨어 실행
  10. PDF · PPT
  11. 환경 설정
  12. PDF · PPT
프로세싱 기초
  1. 도형 그리기
  2. 애니메이션
  3. 마우스와 키보드 이벤트
햄스터 기초
  1. 코드의 기본 형태 만들기
  2. 클라우드 컴퓨터 환경에서 작업하기 (선택 사항)
  3. 말판 이동하기 #1 (순차, 횟수 반복)
  4. 이동하고 회전하기
  5. LED 켜고 소리 내기
  6. 순서대로, 반복하여 명령하기
  7. 키보드 이벤트
  8. 근접 센서 사용하기
  9. 말판 이동하기 #2 (~인 동안 반복)
  10. 바닥 센서 사용하기
  11. 밝기 센서와 가속도 센서 사용하기
  12. 브레이튼버그의 로봇
햄스터 심화
  1. 보드 게임 만들기
  2. 그래픽 인터페이스
  3. 센서 한 개를 사용한 라인 트레이서
  4. 센서 두 개를 사용한 라인 트레이서
  5. 햄스터 친구 따라가기 (2인 1조)
  6. 벽 따라가기
  7. 로봇 청소기 흉내 내기
  8. 라인 트레이서 교차로 주행하기
  9. 미로 탈출
확장 키트
  1. 조립하기
  2. 핀/소켓 배치 살펴보기
  3. 디지털 입력 - 버튼을 누르면 삐 소리가 나요
  4. 디지털 출력 - 어두우면 LED 불이 켜져요
  5. 디지털 출력 - 반짝반짝 LED를 깜박여요
  6. 디지털 출력 - 기울이는 방향으로 LED가 켜져요
  7. 아날로그 입력 - 포텐셔미터를 돌리면 음 높이가 달라져요
  8. 아날로그 입력 - 뜨겁지 않게 해주세요
  9. 아날로그 입력 - 빛을 따라 움직여요
  10. PWM 출력 - LED 불이 부드럽게 밝아졌다 어두워져요
  11. PWM 출력 - LED 촛불이 바람에 흔들려요
  12. 아날로그 서보 출력 - 햄스터 로봇에게 꼬리가 생겼어요
햄스터 고급
  1. 행위 기반의 로봇 제어
  2. 경로 탐색
  3. 자리 바꾸기
Copyright 로봇SW교육원 All rights reserved.
어려운 일이 있으면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박광현 교수(akaii@kw.ac.kr)에게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