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LED를 켜거나 끄는 대신 천천히 부드럽게 밝아졌다가 어두워지도록 해봅시다.
필요한 부품
220 오옴(Ω) 저항 |
노란색 LED |
 |
 |
x 1 |
x 1 |
- 220 오옴(Ω)의 저항은 띠의 색깔이 순서대로 빨간색, 빨간색, 갈색입니다.
- 220 오옴(Ω)의 저항은 확장 키트에 들어 있습니다.
- 저항값 읽는 방법
-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라고 합니다.
- LED는 다리가 긴 쪽이 양극(+), 짧은 쪽이 음극(-)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경우에는 휘어져 있는 다리를 쭉 펴면 길이가 더 기니까
휘어져 있는 다리가 양극(+)입니다.
- 쉽게 외우는 방법: '짧음', 즉 짧은 쪽이 음극(-)입니다. '길음'은 말이 좀 이상하죠?
- 노란색 LED는 확장 키트에 들어 있습니다.
부품 연결
- 220 오옴(Ω) 저항을 B4-5와 B4-6에 연결합니다.
- 노란색 LED의 양극(+, 다리가 긴 쪽)을 B4-7에, 음극(-, 다리가 짧은 쪽)을 B4-8에 연결합니다.
코드 작성
- 포트 B의 모드를 PWM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 출력 B의 값을 0부터 255까지 증가시켰다가 255부터 0까지 감소시킵니다.
import org.roboid.runtime.*;
import org.roboid.hamster.*;
import org.roboid.robot.*;
Hamster hamster;
void setup() {
hamster = Hamster.create(this);
// 포트 B를 PWM 출력으로 설정한다.
hamster.ioModeB(Hamster.IO_MODE_PWM_OUTPUT);
}
void draw() {
}
void run() {
while(true) {
for(int i = 0; i <= 255; i += 5) { // 0부터 255까지 5씩 증가시킨다.
hamster.outputB(i); // 포트 B의 출력
delay(20);
}
for(int i = 255; i >= 0; i -= 5) { // 255부터 0까지 5씩 감소시킨다.
hamster.outputB(i); // 포트 B의 출력
delay(20);
}
}
}
추가 활동
- 햄스터 로봇의 앞면에 있는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손과의 거리에 따라 노란색 LED의 밝기가 변하도록 해봅시다.
- 햄스터 로봇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노란색 LED의 밝기가 변하도록 해봅시다.
- 포트 A에 포텐셔미터를 연결하고 포텐셔미터의 손잡이를 돌리면 노란색 LED의 밝기가 변하도록 해봅시다.
포트 A에 연결하는 방법
- 220 오옴(Ω) 저항을 A4-5와 A4-6에 연결합니다.
- 노란색 LED의 양극(+, 다리가 긴 쪽)을 A4-7에, 음극(-, 다리가 짧은 쪽)을 A4-8에 연결합니다.
목차
수업 자료 내려 받기
- 원본 그림 2017.01.16 버전 (34.7 MB)
햄스터 고급
- 행위 기반의 로봇 제어
- 경로 탐색
- 자리 바꾸기
Copyright 로봇SW교육원 All rights reserved.
어려운 일이 있으면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박광현 교수(
akaii@kw.ac.kr)에게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