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코딩 소프트웨어 실행
- USB 동글을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고 햄스터 로봇의 전원을 켭니다.
-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실행합니다.
윈도우: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C:\RobotCoding 폴더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해당 폴더에 있는 RobotCoding.cmd를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여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실행합니다.
맥OS: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Applications/RobotCoding.app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LaunchPad에서 RobotCoding을 클릭하거나 Finder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RobotCoding을 더블 클릭하여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실행합니다.
리눅스:
(1) GUI를 이용하는 경우
-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 RobotCoding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2)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
- 터미널에서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RobotCoding
-
잠시 기다리면 햄스터 로봇과 컴퓨터가 블루투스로 연결되고,
연결된 햄스터 로봇의 정보가 화면 오른쪽에 표시되면서 플레이봇이 활성화됩니다.
계속 기다려도 연결된 햄스터 로봇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 해결 메뉴를 참고하세요.

컴퓨터에 연결된 햄스터 로봇을 찾으면 로봇 찾기는 자동으로 중지됩니다.
이후에 새로운 햄스터 로봇을 찾기 위해서는
화면 오른쪽의 로봇 찾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컴퓨터에 여러 대의 햄스터 로봇이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된 모든 햄스터 로봇이 순서대로 표시됩니다.
(현재 플레이봇에서는 연결된 로봇 중 첫 번째 로봇만 제어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봇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종료하지 않고 계속 실행된 상태로 두어야 합니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플레이봇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하드웨어 로봇으로 전달하고,
하드웨어 로봇의 센서 값을 플레이봇으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플레이봇 실행
-
화면 왼쪽의 플레이봇 온라인을 클릭합니다.
플레이봇 명령
r1 로봇에 대해 아래의 함수를 사용하면 햄스터 로봇과 화면의 r1 로봇이 연동되어 같이 움직입니다.
비퍼를 줍거나 내려 놓을 때는 소리가 납니다.
햄스터 로봇을 말판 위에 올려 놓아 주세요.
- move()
말판 위에서 햄스터 로봇이 앞으로 한 칸 이동합니다.
- turn_left()
말판 위에서 햄스터 로봇이 왼쪽으로 90도 회전합니다.
- set_color(색상)
햄스터 로봇의 양쪽 LED를 입력한 색으로 켭니다.
입력할 수 있는 색상 (영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 'red' 또는 '빨간색' 또는 '빨강색'
- 'yellow' 또는 '노란색' 또는 '노랑색'
- 'green' 또는 '초록색' 또는 '녹색'
- 'cyan' 또는 'sky blue' 또는 'skyblue' 또는 '하늘색'
- 'blue' 또는 '파란색' 또는 '파랑색'
- 'magenta' 또는 'purple' 또는 '보라색' 또는 '자주색'
(purple은 자주색이고, 보라색은 violet이지만 햄스터 로봇에서는 두 가지 색상이 구분되지 않으므로
같은 색으로 표현합니다.)
- clear_color()
햄스터 로봇의 양쪽 LED를 끕니다.
목차
Copyright 로봇SW교육원 All rights reserved.
어려운 일이 있으면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박광현 교수(
akaii@kw.ac.kr)에게 연락하세요.